*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9년 3월 3일 14시, 세종 문화 회관 M 시어터. 파가니니: KoN (콘). 루치오 아모스: 김경수 (* 타이틀 롤). 콜랭 보네르: 서승원. 아킬레: 박규원 (* 갈릴레오 역). 샬롯 드 베르니에: 하현지. 앙상블: 박민희, 박수현, 김요한, 조영아, 사다빈, 윤영석, 윤혜경, 김진식, 이도희, 이광표. 극을 보는 내내 정말 놀라웠던 점부터 이야기 하겠다. ‘2막 첫 넘버의 그런 어린 시절을 보낸 사람이 저렇게나 단단하고 따뜻하고 밝을 수 있다니’, 무대 분위기 자체는 정말 어둡기 그지없지만 최소한 파가니니라는 캐릭터는 그 자체로 빛이 났다. 그 뒤에는 아마 자기 과거의 그 고통을 대물림 하지 않겠다는 수많은 다짐이 있었을 테..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9년 2월 6일 19시 30분,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 센터 소극장. 병사 1 - 벤 외: 이석준. 병사 2 - 마크: 박은석. 병사 3 - 매튜 외: 김바다. 병사 4 - 릴리: 정연. * 사실 세 에피소드 중 가장 보고 싶었던 건 이 이야기다 - 일단 셰익스피어의 문장 때문에. 배우님들이 그 대사를 하면서 연기하는 모습을 보고 싶었다. 2년 가까이 그런 상태이다가 친구를 잘 둔 덕으로 마침내 표를 구할 수 있었다. 고대 그리스 비극과 아서 왕 전설에 이어 또 한 번 서양 고전 작품을 모티브로 한 이야기이다. 이번에는 셰익스피어의 이고 시간 상 3부작 중 마지막 - 엔딩에서 종전을 선언한다 - 이고. 직접 나서서 싸우는 것도 아니..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9년 1월 5일 15시, 대학로 예술 극장 대극장. 마리 퀴리: 김소향. 피에르 퀴리: 박영수. 루벤: 조풍래. 안느: 김히어라. * 조시: 김아영. 아멜리에: 이아름솔. 폴: 장민수. 밴드 마스터 - 서은지. 키보드 - 황선명. 드럼 - 황선용. 클라리넷 - 차민규. 첼로 - 유예림. 마리 역 배우님들의 노선이 전혀 다르다는 점부터 이야기 해야겠다. 지난번의 마리가 정말로 자연 과학자로서의 모습이 강하게 느껴졌다면 이 날의 마리는 좀 더 인간적이었다. 감정 표현도 더 많았고 가진 것, 주변에 있는 것들을 잃지 않으려는 절박함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 기본적으로 실존 인물의 전기적 사실을 근거로 한 극일 때는 그 인물의 인간적이고 상..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8년 12월 29일 15시,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 센터 소극장. 병사 1 - 란슬롯: 이석준. 병사 2 - 아서: 오종혁. 병사 3 - 가웨인: 김바다. 병사 4 - 그웬, 모르가나: 정연. * 이 공연 또한 ‘아가멤논’ 의 표를 구해 준 친구 덕에 볼 수 있었다. 요즘은 보답 비슷한 것으로 그 친구의 티켓팅을 도와 주고 있고... 아무튼 여러 가지로 참 고마운 친구다. 여태 나랑 친구를 해 주고 있는 것부터가 그렇다. 또 샛길로 빠질 뻔 했으니 극 이야기로 돌아가자. 지난번에는 고대 그리스 비극이었고, 이번에는 아서 왕 전설을 모티브로 했다고 한다. 시간 상 3부작 중 첫 번째 이야기 - 맨 앞에서 크리스마스 휴전이 언급된다 -..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8년 12월 13일 20시,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 센터 소극장. 병사 1 - 알베르트: 이석준. 병사 2 - 요한 외: 박은석. 병사 3 - 연락병 외: 김바다. 병사 4 - 크리스틴: 정연 (* 엠마 역). 이미 내 리뷰에 여러 차례 나온 친한 친구가 재작년 이맘때 정도부터 이야기 하던 극이다. 1차 세계 대전이 배경인데 자세한 건 다 스포일러라 말 못 하겠지만 정말 대단한 이야기니까 꼭 봤으면 좋겠다면서 말이다. 언젠가 한 번은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도저히 표를 구할 수가 없었는데 결국 이번에 친구가 현매를 해 주어서 3부작 중 시간 상 두 번째인 이 이야기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극은 고대 그리스 극작가 아이스킬로스..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8년 12월 28일 20시, 대학로 예술 극장 대극장. 마리 퀴리: 임강희. 피에르 퀴리: 박영수. 루벤: 조풍래. 안느: 김히어라 (* 어린 하녀 역). 조시: 김아영. 폴: 장민수. 아멜리에: 이아름솔. 밴드 마스터 - 서은지. 키보드 - 황선명. 드럼 - 황성용. 클라리넷 - 정현철. 첼로 - 유예림. 우선 자리 이야기부터 하겠다. 내가 소극장 위주로 다녀서 그런 것일 텐데, 뒷자리를 잡은 게 문제가 아닐 정도로 무대와 객석이 멀었다. 예상했던 것보다는 가까웠고 배우님들이 무슨 표정을 짓고 있는지 대략 알 수는 있어 다행이었지만. 캐릭터 구성은 괜찮다는 생각을 했다 - 진리를 추구하는 자 (마리) 와 진실을 추구하는 자 (안느..
2018년 11월 21일 16시, 대학로 아트원 시어터 1관. K: 김종구. 김의신: 김도현. 윤명렬: 이용규. 입소문이 나를 극장까지 이끈 극은 이번이 두 번째다 (첫 번째는 ). 분명히 별 이야기가 없었던 것 같은데 어느 순간 갑자기 폭발적으로 소문이 돌아 버렸고 놀라우리 만치 빠르게 매진이 되어 버렸으며 늦게 예매하는 자에게는 선택권이 없었다. 그래서 K는 내가 정말 보고 싶었던 배우님이 아니다. 의신이 필기만 오른손으로 하는 왼손잡이 캐릭터였다! 초반에 기본적인 검사들을 하는데 청진이나 채혈을 모두 왼손으로 진행했다. 이것도 이 날 배우님의 의신만 그런 것일 테지만 2층 꼭대기 자리에서 봤는데도 너무 잘 보였다. 이렇게 되면 ‘인간이 아닌 존재’ 인 K와 ‘보편적인 인간 상에서 조금 벗어나 있는 ..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8년 11월 17일 15시, 안산 문화 예술의 전당 달맞이 극장. 빈센트 반 고흐: 김경수 (* 싱클레어 고든 역). 테오 반 고흐: 박유덕 (* 타이틀 롤). 왜 예매를 했는지 정말 기억이 안 나는 거 보니 아무래도 표 값이 너무 싸서 눈이 돌아갔던 모양이다. 그리고 결과적인 이야기지만 과에서 학술제를 했는데 그게 바로 이 공연 전날이었다. 요컨대 나의 11월 관극 스케줄은 대체로 뭔가를 끝낸 직후이게 된 셈이다... 좋긴 했는데 참 피곤했다. 밖에 나갈 일이 없는 날에는 아예 아무것도 안 하다시피 할 정도다. 우선 무대가 새하얗다. 정말이다. 그냥 새하얗다. 이 새하얀 무대에 그 때 그 때 고흐의 그림들이나 적절한 배경들을 빔 ..
* 다른 극에서 본 적 있는 배우님은 뒤에 ‘*’ 표시를 했습니다. 2018년 10월 21일 14시, 백암 아트 홀. 제루샤 애버트: 유리아 (* 안나 역). 저비스 펜들턴: 강동호. * 원작은 진 웹스터의 동명 소설. 예매 사이트의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아서 한참을 헤맸고 동네 ATM에서 무 통장 입금이 잘 안 되는 바람에 ‘취소 후 재 예매’ 를 세 번이나 했다. 그래서 이 극의 예매가 4일이나 먼저 열렸는데도 (10월 12일) 와 예매 날짜가 같다. 원작을 알고 보는 경우에는 정말 어쩔 수 없이 비교를 하게 되는데, 이번에는 정말 어릴 때 읽었던 작품이다 보니 대략의 흐름만 기억이 났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정도 재해석은 매우 괜찮다는 생각이 든다. 저비스는 제루샤가 누구든 어떻든 상관 없으며 재..
2018년 10월 11일 20시, 아트원 시어터 2관.엠마: 유연. 스톤: 이휘종. 미아: 임예슬. 버나드: 최석진. 를 처음 보기 전날 (10월 4일) 이었다. 결국 아니게 되었지만 일단은 그랬다. 그 날 오전에 나는 통계에 절여졌고 오후에는 생물 (정확히는 특히 뇌) 에 절여졌다. 그래서 목요일 저녁 무렵에는 심하게 피곤해졌다. 그런데 그 와중에 그 다음 목요일은 휴강한다는 소식을 들었고 왜인지 모르게 관극을 하고 싶어졌다. 여기에 재 관람 할인을 받으면 표 값이 얼마나 덜 드는지 보고 나는 이 극을 한 번 더 보기로 했다. 보다시피 지난번과 전혀 다른 캐스팅이다. 그래서 2주 전에 보았을 때의 배우님들과 어떻게 다른지 위주로 보았던 것 같다. 때 원작과 비교하는 느낌이기도 했는데, 한 가지 큰 차이..